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영 마케팅32

마케팅 스터디 - 김치냉장고는 역시 딤채!!! 틈새시장에서 거대시장을 일군 김치냉장고 "딤채"의 사례를 살펴보고, 딤채가 대기업들의 대대적인 마케팅활동에도 불구하고 김치냉장고 시장의 리더로 화고하게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성공비결은 무엇이었는지 살펴보자. ▲ 지금 김치냉장고=딤채라고 할정도로, 김치냉장고의 대명사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1991년 위니아 만도는 에어콘 전문업체이므로 여름철에는 에어콘으로 매출을 집중되고 겨울철같은때는 매출이 적어서 새로운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여러가지 사업분야를 고심하다가, 각 나라마다의 특징을 발견하게 되는데, 일본은 생선냉장고, 프랑스는 와인냉장고 있다는 것에 착안, 한국만의 특징을 살려 김치냉장고라는 새로운 카테고리의 상품에 뛰어든다. 그래서, 4년간의 개발끝에 김치냉장고를 만들게 되는데, 처음.. 2009. 10. 12.
[저자 강의] 꿈을 이루어주는 세 개의 열쇠 정연식의 "꿈을 이루어주는 세개의 열쇠"라는 저자 강의 영상을 보았다. 강의 평이 좋은 것들이 뭐가 있을까 쭉 보다가 ★★★★★ 개나 받았길래. 뭐지?하고 호기심에서강의를 듣게 되었다. ▲ 이책의 핵심은 이것이다. MVP를 통해서 성공한 사람들의 법칙을 설명한 책이다. MVP Mission : 이 일을 하는 이유 Vision : 이 일의 구체적인 목표 Project : 이 일을 이루기 위한 일상적 실천사항 1. 나는 왜 이일을 하는가? ----------------------------------------------------------- * 사례1: 잭웰치 - 화난 비즈니스맨을 위해서 목표를 달성하고 비효율을 제거하고, 새기준을 창조한다. 잭웰치는 기대목표가 높아서 화가 많은 사람이다. (반대로, 화.. 2009. 9. 25.
미래 산업과 만나는 3가지 키워드 Seri에 있는 동영상인데, 아주 내용이 좋아서 올려본다... 2009. 9. 25.
[마케팅 케이스 스터디] AT&T의 사용요금 전략 AT&T 의 요금전략을 통해서 매출 포화상태에서 매출상승을 이끌어낸 노하우를 알아보도록 하자. ▲ AT&T는 위와 같은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월~금요일중에 시간대 아침 8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할인이 없다. 주말에는 더 많은 할인율을 적용하고 있었다. 약간씩 달라지긴 하지만 이런 기본틀은 유지하고 있다. ▲ 그런 요금제를 쓰는 이유는 평일 낮에는 주로 업무용 화로 모든 회선이 꽉차게 되고, 저녁과 주말, 밤늦은 시간에는 소비량도 급격히 감소하고 가정용, 사적인 전화가 주로 이용된다. 이런 상태에서 매출증대를 일으킬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 AT&T 같은 경우는 제조없과 달리 사용량이 늘어도 변동비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기때문에, 매출증대는 곧 이익의 증대로 이어진다. 대개.. 2009. 9. 20.
[마케팅 케이스 스터디] 코카콜라의 신제품 New Coke의 실패 이번에는 코카콜라이 뉴코크의 실폐 사례를 통해서 마케팅을 공부해 보자. 1984년 펩시콜라의 획기적인 광고 (블라인드테스트를 통해서 어떤 콜라가 맛있냐...물어보던 광고)로 한때, 펩시가 코카콜라를 따라잡았던 때가 있었다. 그리고, 펩시가 슈퍼마켓 시장점유율 2위를 차지하기도 했었다. 음료의 유통구조중에서 슈퍼마켓이 가장 마진이 적은 유통경로기 때문에, 코카콜라측에서는 큰 이슈로 삼지 않았다. 마진이 적은 슈퍼마켓에서 제 살 깍아먹기를 하기보다는 대신에 마진이 높은 자판기 시장을 더 적극적으로 공략을 하며 경쟁 회피를 했다. 또한, 획기적인 성장의 동력을 얻기위해서 신제품을 개발하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뉴코크였다. ▲ 그 당시에 400만달러를 들여 2백만회 넘는 맛테스트를 통해서 검증을 거치는등.. 2009. 9. 12.
황성욱의 디자인경영 내용정리 [8] Design Management 2.0, 디자인 영웅시대 디자인을 관리하고 통제한다는 이전의 개념을 떠나 이제는 디자인 메니지먼트를 하는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 앞으로는 디자인이 그 사업의 중심에 서게 될것이다. ▲ 과거에는 아웃사이더로서의 디자인이었다. 아이보리 비누의 경우에서 보듯이 비누라는 실재의 제품을 돋보이기 위해서 포장을 하는 정도로만 디자인을 취급했다. 그러나 근래들어 디자인을 파트너로서의 자리로 인정하게 된다. 지금의 시점은 파트너로서의 위치에서 기업활동에서의 히어로로 가는 중간쯤 있다고 볼수 있다. 앞으로는 히어로로서의 디자인의 위치로 나아갈 것이다. ▲ 위의 다섯가지의 제품을 보자. 공통적인 것은, 회사들이 많이 어려울때, 위의 제품을 통해서 회사를 살아나게 했던 제품들이라는 점이다. 이제품들을 보면 "디자인은 훌룽한 세일즈맨이다" 라는 말이.. 2009. 9. 6.